Back-end/Python

[Python]python 튜플(tuple),리스트(list),딕셔너리(dictionary) 정리

수밧드 2019. 12. 11. 14:29







파이썬에는 문자열 또는 숫자를담을 수 있는 자료구조를 제공한다.

총 튜플(tuple),리스트(list),딕셔너리(dictionary),집합(set)이 있다.

오늘은 튜플과, 리스트, 딕셔너리 이 세가지만 얘기하고자한다.






1. 리스트


리스트는 순서대로 정리된 항목을 담는 간단한 자료구조 이다. 

"[ ]" 대괄호로 시작과 끝을 정하며 각가의 요소를 쉼표( , )로 구분 해 준다.









시로 요일을 리스트로 정의 해 보았다.


days = ["Mon", "Tue", "Wed", "Thur", "Fri"]









print 해보면 결과는 대괄호가 포함된 상태로 프린트 된다.







타입을 프린트 해보면 파이썬도 list 라고 인지하고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




이제부터 파이썬의 내장함수에대해 정리할것이다.


[파이썬에만 있는 유용한것]

리스트안에 특정항목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. 위의 그림을 보는것과 같이

print("Mon in days") => Mon이 days에 있나요?

라고 하면, 논리연산자 형식인 True 라고 콘솔창에 프린트가 된다.




 

+ python standard library를 참고하였다 그 이외에것들도 많다.







Tue를 꺼내고 싶어 무작정 print(days[2])를 프린트 해보았다.

결과는 예상과달리 Wed 를 꺼내서 프린트하였다.

이게 어떻게 된일인가 하니 리스트는 0 부터 숫자를 센다.

0번째, 1번째, 2번째, 3번째 ㆍㆍㆍㆍn번째

(사실 대부분의 컴퓨터언어는 0번째 부터 센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)






print(days[1])를 프린트하면 원하는 값인

Tue를 프린트 할 수 있다.








다음으로 리스트의 길이를 재보려한다.

print(len(길이를 재보려는 함수))

이렇게 하면 리스트의 길이를 알 수 있다.

그런데 잠만!

컴퓨터는 0부터 센다고 했는데 갑자기 여기선 4가 아닌 5라고 콘솔창에 출력이 되었다.

이부분은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.